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학작가 최두환

경남예술이슈톡/G-예술인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10. 12. 12:07

본문

반응형

문학작가 최두환

     최두환  


  • 경상남도 창원 출생
  • 《한맥문학》 시 등단
  • 백상출판문화상 
  • 충무공선양대상
  • 충무공 리순신 대상 단체상
  • 대통령 표창 수상
  • 보국훈장 삼일장 수훈
  • 진해예술인상 수상
  • 진해문인협회 감사, 부회장, 회장 역임 이사 / 경남시인협회 및 경남문인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전자문학위원

 

    주요활동    


  • 시집

서사시, 성웅 그리고 인간 충무공 리순신(뿌리출판사, 2010)

7년만의 사랑(한국문학방송, 2012)

목련의 옛사랑(한국문학방송, 2012)

여름날 아귀찬 흑백 바다 일기(한국문학방송, 2012)

무궁화 닮은 시게전 박씨 할매(한국문학방송, 2013)

진실을 보는 눈, 내 안에 헤로도투스(타임비, 2013)

리순신, 승리의 노래(한국문학방송, 2013)

나그네새 노래하다(한국문학방송, 2014)

백의종군, 아픔의 색깔(한국문학방송, 2014)

백락시선집: 휫손, 미래를 꿈꾸다(한국문학방송, 2015)

, 사랑과 행복의 언덕(한국문학방송, 2015)

내 인생에 겨울이 오면(한국문학방송, 2016)

그 위대한 탄생(한국문학방송, 2018)

추억하는 바다는 잠들지 않는다(한국문학방송, 2018)

작은 별, 작은 꿈 하나(한국문학방송, 2019)

청개구리의 언어(한국문학방송, 2019)

자투리 묵정밭을 일구며(한국문학방송, 2020)

세상을 바꾸는 한 줄(한국문학방송, 2021)

  • 번역서

새 번역 난중일기(학민사, 1996)

새 번역 초서체 난중일기(해군사관학교, 1997)

《완역 임진장초》(우석출판사, 1999)

《새롭게 고쳐 쓴 하멜 표류기》(우석출판사, 2003)

《프랑스 신부가 쓴 중국대륙의 조선왕국 조선통사》(도서출판 경남, 2007)

새 번역 진본 초서체 난중일기(한국문학방송, 2012)

《새 번역 산해경》(한국문학방송, 2014)

충무공 리순신의 진중보고서 : 임진장초(한국문학방송, 2017)

충성과 효성의 표본 초급 난중일기(한국문학방송, 2017)

조선, 동틀 무렵 붉게 물든 나라(한국문학방송, 2018)

  • 연구서

《충무공 리순신》(대한출판협회, 1998)

《충무공 리순신 전집》(1질 6책)(우석출판사, 1999)

명언집 죽고자 하면 살리라(도서출판 불휘, 1993/ 한국문학방송, 2014)

강강수월래 연구(학민사, 1997/ 한국문학방송, 2014)

리더십의 발견 충무공 리순신의 휫손(해군충무공리더십센터, 2007)

충무공 李舜臣 그리고 미래의 꼬레아(도서출판 경남, 2009)

세계제일의 제독 리순신 평전(한국문학방송, 2012)

리순신의 휫손, 성공 리더십(한국문학방송, 2013)

백의종군, 리순신의 무전유죄(한국문학방송, 2013)

충무공 리순신의 리더십 연구(한국문학방송, 2015)

난중일기의 서지학적 고찰(한국문학방송, 2015)

원형 거북선과 학익진의 비밀(한국문학방송, 2015)

성웅 이순신(공옥 출판사, 2020)

ADMIRAL YI SUN-SHIN THE HOLY HERO OF KOREA(공옥 출판사, 2020)

더보기

대동여지도에서 낙타전쟁(학민사, 2003)

토산물로 본 조선(도서출판 경남, 2006)

프랑스 신부가 쓴 중국대륙의 조선왕국 조선통사(도서출판 경남, 2007)

충무공 리순신, 대한민국에 (푸른솔, 2008)

산해경의 비밀 읽기(한국문학방송, 2013)

토산물의 언덕에 서면 비밀이 솔솔(한국문학방송, 2013)

세상을 바꾸는 힘, 조선의 그린 차(한국문학방송, 2013)

새 번역 산해경(한국문학방송, 2014)

역사기행: 한국사의 정체성에 대한 소고(한국문학방송, 2015)

역사기행: 한국사의 현주소 엿보기(한국문학방송, 2015)

역사기행: 천문으로 읽는 조선(한국문학방송, 2015)

역사기행: 조선을 보는 시각과 인식의 틀(한국문학방송, 2016)

조선은 천자국 : 상제례 문화에서 본 한국(한국문학방송, 2016)

역사기행: 독립신문과 독립운동가의 활동무대(한국문학방송, 2020)

미세기로 본 한국 하루에 7번 밀물 드는 나라 조선(한국문학방송, 2019)

위대한 한국사의 비밀: 환단고기(한국문학방송, 2020)

역사기행: 동의보감에 숨겨진 조선 흔적(한국문학방송, 2021)

  • 논문

軍事敎育訓鍊生成發展論 敎育訓鍊本質效果要素를 중심으로」『海洋戰略37/38. 해군대학, 1985, pp. 126160/123174.

心理學的 側面軍隊環境 造成論 軍事敎育訓鍊 管理中心으로」『海洋戰略35/36. 해군대학, 1985, pp. 145193/149186.

壬亂時 강강수월래의 軍事的 意義」『海洋戰略55. 해군대학, 1988, pp. 3094.

당개격전지(唐浦激戰地)의 영웅」『敎育發展3. 海軍敎育司令部, 1990, pp. 107132.

鳴梁海戰과 강강수월래」『忠武公 李舜臣 硏究論叢. 해군사관학교, 1991, pp. 569610.

忠武公 李舜臣의 리더십 모델 硏究」『海洋戰略75. 해군대학, 1992, pp. 73105.

慶尙全羅水軍 最初合同作戰硏究」『敎育發展9. 해군교육사령부, 1993, pp. 168213.

高麗末期 火砲運用海戰」『海軍312. 해군본부, 1993, pp. 3148.

친필초본 난중일기에 대한 나의 의견」『문화통신통권 8, 경남문화진흥회, 1993, pp. 102107.

난중일기로 본 李舜臣의 나라사랑」『광복50 한산대첩축제 이충무공의 생애와 나라 사랑. 문화체육부, 1995. 10. 17., pp. 1520.

李舜臣心理的 不安解消 方法 周易解釋自己診斷」『敎育發展14. 해군교육사령부, 1995.

더보기

난중일기의 문학적 가치 평가」『진해문학. 진해문인협회, 1996

忠武公 李舜臣遵法精神」『敎育發展16. 해군교육사령부, 1996, pp. 120151.

李舜臣의 꿈과 心理的 不安解消」『海洋戰略91. 해군대학, 1996, pp. 3778.

飜譯되지 않은 草書 亂中日記 紹介忠武公 精神 再發見」『海洋硏究論叢17. 해군사관학교 해군해양연구소, 1996, pp. 147201.

壬亂時 軍船搭載火器性能 硏究.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충무공 리순신의 여가 선용: 종정도 놀이 연구」『海洋戰略95. 해군대학. 1997, pp. 174202.

충무공정신의 현대적 의의」『敎育發展17. 해군교육사령부, 1997, pp. 298328.

忠武公 李舜臣 拘束適否性 考察」『海洋戰略100. 해군대학, 1998, pp. 169248.

충무공 리순신의 진법 운용과 신호체계」『리순신 장군 순국 400주년 기념학술회의 임진왜란과 리순신 장군의 전략전술. 문화관광부전쟁기념관, 1998, pp. 3796.

忠武公 李舜臣天道思想 硏究」『海洋戰略98. 해군대학, 1998, pp. 84164.

학익진의 비밀」『敎育發展20, 해군교육사령부, 1998, pp. 282321.

임진왜란 해전에서의 함포 운용술 연구」『學藝誌6. 육군박물관, 1999, pp. 137172.

임란시 원형 거북선에 관한 연구」『海洋硏究論叢22. 해군사관학교, 1999, pp. 57154.

해양전략 사상가로서의 리순신 고찰」『海洋戰略105. 해군대학, 1999, pp. 217255.

임란시 화기의 성능 연구」『海洋硏究論叢24. 해군사관학교, 2000, pp. 57108.

忠武公 李舜臣의 리더십 13大 原則」『敎育發展24. 해군교육사령부, 2001, pp. 110134.

충무공 리순신의 해양전략 사상에 관한 연구」『海洋硏究論叢26. 해군사관학교, 2001, pp. 77134.

거북선 논문집. 해군교육사령부 충무공수련원, 2001.

노량해전이 임진왜란 종전에 미친 영향」『2회 충무공 노량해전 승첩제 학술발표. 남해군, 2002, pp. 3954.

충무공 리순신의 국가관과 목표관리」『해군통권361. 해군본부, 2003.

忠武公 李舜臣의 리더십과 知識經營」『敎育發展26. 해군교육사령부, 2003, pp 142.

한산대첩이 임진왜란 종전에 미친 영향」『統營誕生 400주년 記念史料集. 통영시, 2004, pp. 117138.

忠武公 李舜臣의 리더십에 관한 硏究. 경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忠武公 李舜臣海洋思想領土守護」『충무공 이순신 탄생 460주년 중구의 인물, 충무공 이순신. 서울중구문화원, 2005. 4. 26., pp. 730.

임진왜란과 거제지역 전적지에 관한 고찰」『거제도내 임진왜란 전적지 연구포럼. 거제관광포럼, 2007, pp. 630.

충무공 리더십의 현대적 재조명」『해군 리더십 논총창간호. 충무공리더십센터, 2007, pp 71117.

「《山海經에 나타난 象徵歷史的 價値에 관한 考察」『慶尙史學23. 2007. 12., pp. 3184.

歷史로서의山海經地理的 槪念 考察 <海經>神人鳥獸를 중심으로」『慶尙史學24. 2008. 12., pp. 131171.

충무공 리순신의 」『진해문화6. 진해문화원, 2008, pp. 4057.

풍신수길과 그 일당에게 현상금을 대륙 해안에 걸다」『월간 황토7, 2008. 3., pp. 36~39.

21세기를 위한 한국적 리더십 모델 소고 -난중일기를 통한 충무공 리순신의 통합적 휫손을 중심으로」『교육발전31. 해군교육사령부, 2008, pp. 315344.

리순신이 싸운 그 바다」『진해문화7. 진해문화원, 2009, pp. 5773.

칠천량해전 고찰」『거제지역 임진왜란 전적지 연구 포럼. 거제관광포럼, 2010. 10. 29., pp. 28~57.

충무공의 위기관리 리더십 고찰」『해군 리더십 논총5. 해군충무공리더십센터, 2011, pp. 146.

충무공의 강한 수군 건설과 리더십 재조명」『4회 해군 리더십 발전 세미나. 해군충무공리더십센터, 2010. 11. 24., pp. 4380.

壬辰倭亂 時期 朝明聯合軍 硏究. 국립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안골포 해전의 력사적 의의에 대하여. 한국문화예술진흥회, 2012. 6. 3. pp. 112.

1909년 해상충돌예방법 적용의 지명 고찰. 한국문학방송, 2016

임진왜란시 광주양光洲洋 해전 고찰. 한국문학방송, 2016

조선은 천자국 : 상제례 문화에서 본 한국. 한국문학방송, 2016

사방 5만리의 나라 귀양지 3000리의 조선 강역 고찰 한국문학방송, 2017

 

    세상을 바꾸는 한 줄    


세상을 바꾸는 한 줄

 

 

     미세기로 본 한국, 하루에 7번 밀물 드는 나라 조선 (연구서)    


미세기로 본 한국: 하루에 7번 밀물 드는 나라 조선(연구서)

 

 

    활동 콘텐츠    


경남일보 언론보도
경남도민일보 언론보도
한국문학방송 매거진

 

 

한국문학방송(DSB) : 세상을 바꾸는 한 줄 (전자책)

세상을 바꾸는 한 줄  최두환 시집 (전자책) / 한국문학방송 刊    벌써 열여섯 번째 시집이다.   누구나 꿈을 꾼다. 그 꿈이 세상을 바꾸고 싶은 것이라면 나는 시를 쓴다. 전생일 것이다.   나

dsb.kr

 

반응형

'경남예술이슈톡 > G-예술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화 작가 오성희  (0) 2021.10.26
시인 김효경  (0) 2021.10.14
조형물 디자이너 이정우  (0) 2021.10.12
문인화 작가 양천[陽川] 김성임  (0) 2021.10.08
미술작가 김현재  (0) 2021.10.08

관련글 더보기